Framework/Spring
[Spring] 의존성 주입(DI) - xml과 어노테이션 활용
스프링 공부 교재로 썼던 스프링 퀵 스타트(저자:채규태) 책의 내용을 바탕으로 공부한 내용을 함께 정리한 글이다. ▶ ⭐️의존성 주입(injection)⭐️ Dependency Injection(DI)은 컨테이너가 직접 객체들 사이에 의존관계를 처리하는 것을 의미하며, 객체 사이의 의존관계를 스프링 설정 파일(xml)에 등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컨테이너가 자동으로 처리해 준다. (의존성(Dependency) 관계란 객체와 객체의 결합 관계이다.) 의존성 주입 방식은 xml 방식과 어노테이션 방식이 있다. ▶ xml로 의존성 주입하기 1️⃣ 세터 인젝션 (Setter Injection) Setter 메소드를 호출하여 의존성 주입을 처리한다. SamsungTV.java 1 2 3 4 5 6 7 8 9 10 1..
2021. 2. 8.